건강칼럼

건강칼럼

잠이 보약!~

페이지 정보

작성자 정재화
작성일17-06-14 19:49 조회351회 댓글0건

본문

<!--StartFragment-->

<수면보약, 잠이 보약이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수면의 다양한 기능

에너지 보존

기억공고화

시냅스와 신경세포체의 통합

체온조절

인지기능 유지

 

잠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수면은 학습과 기억, 정신과 육체활동에 필요하며, 정신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과정이다.

장기간 수면이 부족하면 근골격계질환, 심장폐질환, 위장관질환이 증가하고 어린이는 성장이 늦어진다. 고혈압, 당뇨병, 심장동맥질환의 발병률도 높아지는데, 수면이 심혈관질환과 대사질환을 예방하고 건강한 혈관의 유지에도 중요함을 시사한다.

 

수면 부족이 부르는 질환

수면 부족은 비만을 유발하며, 당뇨병, 고혈압, 우울증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심근경색과 심장마비 등 관상동맥 질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수면주기, 치매 환자 인지기능에 영향

치매 환자는 외부활동이 제한되어 하루 주기 리듬에 중요한 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적고, 동반하는 다양한 신체질환, 정신질환, 또는 약물부작용으로 수면주기가 깨지기 쉽다. 이러한 수면주기의 변화는 질병 초기부터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심한 치매환자는 하루 주기 리듬의 변화로 12-25%에서 혼동, 초조, 불안, 환각, 망상 같은 증상이 저녁이나 밤에 반복되는데, 이를 일몰증후군이라고 한다. 이때 심리적인 지지와 함께 행동치료가 도움이 되며, 약물은 소량의 항정신병약과 벤조디아제핀을 사용한다.

 

파킨슨 환자 80-90% 수면장애

파킨슨병 환자의 80-90%가 수면장애를 호소한다. 파킨슨병 환자는 잠자리에서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해 수면 중 잦은 각성과 불면증, 주간 과다 졸림증, 피로를 호소한다.

 

-수면무호흡증 치료비용 건강보험적용: 수면무호흡증군은 수면다원검사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머리와 얼굴에 센서를 부착하고 자는 동안 뇌파, 혈중산소농도 등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수면다원검사는 건강보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지만, 진단 후 치료를 목적으로 약물을 사용하거나 외과적 수술을 받을 때는 건강보험 비용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치료용 수면내시경 건강보험적용: 보건복지부는 올해 2월부터 수면내시경에 대해 순차적으로 건강보험을 적용하기로 했다. 대상은 모든 치료 목적의 수면내시경과 4대 중증질환 관련 61가지 진단 목적의 수면내시경이다. , 일반 건강검진 때 받는 수면내시경 진정비용은 건강보험 적용대상에서 제외된다.

-일부 불면증 치료제 건강보험 적용

       출처:건강보험공단 6월 사보 요약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